일상백서 꿀팁 블로그

행동 경제학과 직장인의 선택: 현실 사례로 보는 직장 생활의 심리 본문

카테고리 없음

행동 경제학과 직장인의 선택: 현실 사례로 보는 직장 생활의 심리

Daily Fragments 2024. 7. 9. 12:00
반응형

행동경제학은 사람들이 합리적인 선택을 항상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출발합니다. 직장 내에서도 비합리적인 선택과 행동이 자주 일어나는데, 이러한 사례들은 우리의 일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서 몇 가지 흥미로운 예시를 통해 행동경제학이 직장 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매몰비용 오류

매몰비용 오류(sunk cost fallacy)는 이미 투자한 시간이나 돈 때문에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직장에서 어떤 프로젝트가 명백히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도, 이미 많은 자원을 투입했기 때문에 계속 밀고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합리적인 결정이 아니라, 투입된 자원에 집착하는 비합리적인 행동입니다.

 

 

2. 앵커링 효과

앵커링(anchoring)효과는 초기 정보가 후속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 연봉 협상 시 첫 제안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제안된 연봉이 5000만원 이라면, 이후 협상에서 이 수치가 기준점이 되어 그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금액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초기 제안이 매우 중요합니다.

방식이라면

 

3. 프레이밍 효과

프레이밍(framing) 효과는 동일한 정보라도 어떻게 제시되는지에 따라 사람들의 선택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상사가 프로젝트 목표를 "성공률 80%"라고 표현하는 것과 "실패 확률 20%"라고 표현하는 것 중, 사람들은 전자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목표 설정과 커뮤니케이션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4. 기본값 효소

기본값(default) 효과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옵션을 그대로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제공하는 연금 가입 제도가 자동 가입방식이라면 대부분의 직원들이 별다른 변경 없이 가입하게 됩니다. 하지만 선택적 가입 방식이라면 가입률이 현저히 낮아질 것 입니다. 이는 조직 정책 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5. 확증 편향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은 자신이 이미 믿고 있는 정보를 강화하는 쪽으로 새로운 정보를 해석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직장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안을 평가 할 때, 자신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정보를 해석하여 기존의 믿음을 강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혁신과 변화의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6. 사회적 비교

사회적 비교(social comparison)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여 만족감을 느끼거나 좌절감을 느끼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동료의 승진 소식을 듣고 자신도 비슷한 성과를 이루기 위해 더 열심히 일하거나, 반대로 좌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직원들의 동기 부여와 심리적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7. 소유 효과

소유 효과(endowment effect) 는 사람들이 자신이 소유한 것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맡은 프로젝트나 아이디어에 대해 다른 사람들보다 더 큰 애착을 가지게 되어, 객관적인 평가를 어렵게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협업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8. 행동경제학을 통한 직장 내 변화

행동경제학은 직장 내 다양한 문제와 비합리적인 행동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과 제도를 설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직장 문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행동경제학이 적용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우리의 일상에서 어떻게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것은 매우 유익한 일입니다. 

반응형